반응형
문제
1에서부터 6까지의 눈을 가진 3개의 주사위를 던져서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상금을 받는 게임이 있다.
- 같은 눈이 3개가 나오면 10,000원+(같은 눈)×1,0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 같은 눈이 2개만 나오는 경우에는 1,000원+(같은 눈)×1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 모두 다른 눈이 나오는 경우에는 (그 중 가장 큰 눈)×100원의 상금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3개의 눈 3, 3, 6이 주어지면 상금은 1,000+3×100으로 계산되어 1,300원을 받게 된다. 또 3개의 눈이 2, 2, 2로 주어지면 10,000+2×1,000 으로 계산되어 12,000원을 받게 된다. 3개의 눈이 6, 2, 5로 주어지면 그중 가장 큰 값이 6이므로 6×100으로 계산되어 600원을 상금으로 받게 된다.
3개 주사위의 나온 눈이 주어질 때, 상금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 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3개의 눈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각각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게임의 상금을 출력 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3 3 6
예제 출력 1 복사
1300
예제 입력 2 복사
2 2 2
예제 출력 2 복사
12000
예제 입력 3 복사
6 2 5
예제 출력 3 복사
600
이 문제 같은 경우는 시간 초를 계산을 하지 않아서 효율적으로 작성하고자 반복문을 작성함
어쩌피 o(1)이니까 괜찮지 않을까 ? 싶엇는데..
내가 계산을 잘 못 했을 수도 있음... 암튼 지적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mport sys
c = {}
w = sys.stdin.readline().strip().split()
for a in w:
try:
c[a] += 1
except:
c[a] = 1
if len(c) == 3:
sc = sorted(c.items(), key= lambda item: item[1])
v = int(sc[0][0])
print(v*100)
elif len(c) == 2:
sc = sorted(c.items(), key= lambda item: item[1], reverse=True)
v = int(sc[0][0])
print(1000+v*100)
else:
sc = sorted(c.items(), key= lambda item: item[1])
v = int(sc[0][0])
print(10000+v*1000)
그래서 초기에 작성된 코드
딕셔너리를 이용해서 갯수와 숫자를 가져올 수 있었음.
아 근데 지금 적으면서 생각하는데
sorted의 내부 내용때문에 안될 수도 있겠다 싶다.
그래서 그냥 효율이고 뭐고 어쩌피 3개니까 다 검사해버리자로 마음을 돌려서 수정함
import sys
a,b,c = map(int, sys.stdin.readline().strip().split())
if a == b and a == c and b == c:
print(10000 + (a * 1000))
elif a == b:
print(1000 + a * 100)
elif b == c:
print(1000 + b * 100)
elif a == c:
print(1000 + c * 100)
else:
print(max(a,b,c) * 100)
여기서 중요한 점은 max 함수로 제일 큰 값을 가져와야된다는 것? 인듯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25314 코딩은 체육과목 입니다 (0) | 2023.11.03 |
---|---|
[BAEKJOON] 25304 영수증 (0) | 2023.11.03 |
[BAEKJOON] 2525 오븐 시계 (0) | 2023.11.03 |
[BAEKJOON] 11382 꼬마 정민 (0) | 2023.11.03 |
[BAEKJOON] 10926 ??! (0) | 2023.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