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BAEKJOON] 7785 회사에 있는 사람

by mAlfred 2024. 1. 6.
반응형

문제

상근이는 세계적인 소프트웨어 회사 기글에서 일한다. 이 회사의 가장 큰 특징은 자유로운 출퇴근 시간이다. 따라서, 직원들은 반드시 9시부터 6시까지 회사에 있지 않아도 된다.

각 직원은 자기가 원할 때 출근할 수 있고, 아무때나 퇴근할 수 있다.

상근이는 모든 사람의 출입카드 시스템의 로그를 가지고 있다. 이 로그는 어떤 사람이 회사에 들어왔는지, 나갔는지가 기록되어져 있다. 로그가 주어졌을 때, 현재 회사에 있는 모든 사람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로그에 기록된 출입 기록의 수 n이 주어진다. (2 ≤ n ≤ 106) 다음 n개의 줄에는 출입 기록이 순서대로 주어지며, 각 사람의 이름이 주어지고 "enter"나 "leave"가 주어진다. "enter"인 경우는 출근, "leave"인 경우는 퇴근이다.

회사에는 동명이인이 없으며, 대소문자가 다른 경우에는 다른 이름이다. 사람들의 이름은 알파벳 대소문자로 구성된 5글자 이하의 문자열이다.

출력

현재 회사에 있는 사람의 이름을 사전 순의 역순으로 한 줄에 한 명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4
Baha enter
Askar enter
Baha leave
Artem enter

예제 출력 1 복사

Askar
Artem

해당 문제는 enter, leave 일 때에 해당 사람을 제거해주면 되는 문제였다.

근데 풀면서 처음 알았지만 출력 예제가 줄 넘김이 있어도 사이사이 공백 기준만 있다면 풀린다는 것을 오늘 처음 알았다.

매번 줄 넘겨주기 위해 반복문을 사용했는데...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strip())
d = {}
ps = sys.stdin.readlines()
ps = list(map(str, ps))

for p in ps:
    n, e = map(str, p.split())
   
    if n in d.keys():
        del d[n]
    else:
        d[n] = e


a = sorted(list(d.keys()), reverse=True)
print(*a)

 

딕셔너리에 key 로 입력을 하고 키가 있는데 또 나타났다면 키를 제거한다.

근데 여기서 어? enter, leave를 구분짓지 않아도 괜찮은가? 싶다면 출근을 두번을 할 수는 없다.

들어왔는지와 나갔는지만 나오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걍 on, off 식으로 구현하면 된다.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17608 막대기  (0) 2024.01.08
[BAEKJOON] 27323 직사각형  (0) 2024.01.08
[BAEKJOON] 10867 중복 빼고 정렬하기  (0) 2024.01.05
[BAEKJOON] 5575 타임 카드  (0) 2024.01.04
[BAEKJOON] 11948 과목선택  (0) 2024.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