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BAEKJOON] 2644 촌수계산

by mAlfred 2023. 5. 21.
반응형

문제

우리 나라는 가족 혹은 친척들 사이의 관계를 촌수라는 단위로 표현하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촌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된다.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를 1촌으로 정의하고 이로부터 사람들 간의 촌수를 계산한다. 예를 들면 나와 아버지, 아버지와 할아버지는 각각 1촌으로 나와 할아버지는 2촌이 되고, 아버지 형제들과 할아버지는 1촌, 나와 아버지 형제들과는 3촌이 된다.

여러 사람들에 대한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가 주어졌을 때, 주어진 두 사람의 촌수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사람들은 1, 2, 3, …, n (1 ≤ n ≤ 100)의 연속된 번호로 각각 표시된다. 입력 파일의 첫째 줄에는 전체 사람의 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촌수를 계산해야 하는 서로 다른 두 사람의 번호가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에는 부모 자식들 간의 관계의 개수 m이 주어진다. 넷째 줄부터는 부모 자식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두 번호 x,y가 각 줄에 나온다. 이때 앞에 나오는 번호 x는 뒤에 나오는 정수 y의 부모 번호를 나타낸다.

각 사람의 부모는 최대 한 명만 주어진다.

출력

입력에서 요구한 두 사람의 촌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출력한다. 어떤 경우에는 두 사람의 친척 관계가 전혀 없어 촌수를 계산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이때에는 -1을 출력해야 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9
7 3
7
1 2
1 3
2 7
2 8
2 9
4 5
4 6

예제 출력 1 복사

3

예제 입력 2 복사

9
8 6
7
1 2
1 3
2 7
2 8
2 9
4 5
4 6

예제 출력 2 복사

-1

이 문제는 처음에 접근할 때 생각햇을 때

아 이거 걍 dfs로 풀면 되겠다 싶었는데

생각해보니 카운트 정보를 함께 저장을 하면 좀 더 쉽게 풀 수 있을 것 같아서 bfs로 갈아탔다.

뭐 당연히 dfs는 돌리면서 어디 리스트에 잘 집어넣어주고 다시 반복을 돌리면 몇번째인지 찾을 수 있을테지만 생각해보면 반복을 한번 더 돌리는 꼴이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긴 할 듯?

 

아무튼 입력 받을 수 있게 상태를 꾸려주고~

 

n = int(sys.stdin.readline().strip())
s, g = map(int,sys.stdin.readline().strip().split())
m = int(sys.stdin.readline().strip())

vi = [False] * (n + 1)
fm = [[] for i in range(n + 1)]

for i in range(m):
    x, y = map(int,sys.stdin.readline().strip().split())
    fm[x].append(y)
    fm[y].append(x)
def bfs(v):
    que = deque()
    que.append((v, 0))
    vi[v] = True

    while que:
        _v, _d = que.popleft()

        if _v == g:
            return _d
       
        for i in fm[_v]:
            if not vi[i]:
                que.append((i, _d+1))
                vi[i] = True
               
    return -1

 

개인적으로 나는 bfs보다 dfs를 선호하지만 이런 카운트 정보 같은 것을 저장해야된다면 bfs로 푸는게 정신적으로 이로운 것 같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v):
    que = deque()
    que.append((v, 0))
    vi[v] = True

    while que:
        _v, _d = que.popleft()

        if _v == g:
            return _d
       
        for i in fm[_v]:
            if not vi[i]:
                que.append((i, _d+1))
                vi[i] = True
               
    return -1


n = int(sys.stdin.readline().strip())
s, g = map(int,sys.stdin.readline().strip().split())
m = int(sys.stdin.readline().strip())

vi = [False] * (n + 1)
fm = [[] for i in range(n + 1)]

for i in range(m):
    x, y = map(int,sys.stdin.readline().strip().split())
    fm[x].append(y)
    fm[y].append(x)

print(bfs(s))

 

전체 코드

반응형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10808 알파벳 개수  (0) 2023.05.21
[BAEKJOON] 1012 유기농 배추  (0) 2023.05.21
[BAEKJOON] 5014 스타트링크  (0) 2023.05.19
[BAEKJOON] 1697 숨바꼭질  (0) 2023.05.19
[BAEKJOON] 2606 바이러스  (0) 2023.05.19